- 화장품 일정량의 수분을 포함하며, 일단 개봉한 후에는 산소와 온도 변화에 노출되는데 이로 인해 세균과 진균류가 증식하고 이는 사용자의 감염원으로 질병 유발의 원인으로여겨짐
- 제품에 대한 안전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역할에 알맞은 적절한 성능을 가진 물질을 선택하여 화학보존제로 사용하지만, 제품에 화학 보존제를 다량으로 사용할 경우 인체의 피부자극 및 부작용이 유발되어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 시킴
- 화학 보존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천연 보존제가 개발되고 있으며, 생약 등의 추출물에서 유래한 것들이 대부분 이지만 추출물의 특성상 안정성과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아 화학보존제의 대체 사용이 어려움
- 자사 DN-Pepcide는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특허 기술을 이전 받아 디네이처에서 생산한 제품으로서항균/항진균 효능 검증 완료되었으며 합성보존제의 단점을 보완하고, 펩타이드 기반의 천연보존제로서 신개념 제공
종류 | 장점 | 단점 | |
---|---|---|---|
파라벤류 (Paraben, 파라옥신안식향산에스텔) |
메틸-(methyl) 에틸-(ethyl) 프로필(propyl) 부틸-(butyl) |
넓은 pH범위에서 활성, 다양한 미생물에 효과적 |
체내 축적되어 내분비계 교란 |
알코올 (Alcohol) |
페녹시엔탄올 벤질알코올 클로르페네신 |
값이 싸고, 다양한 미생물에 효과적 |
알레르기 유발, 유아에게 탈 수 발생 가능성 |
유기산과 염틀 |
안식향산과 나트륨염 소르빈산과 칼륨염 디하이드로초산과 나트륨염 |
pH 5이하에서만 효과 | |
이소치아졸 화합물 (Isothiazole compounds) |
메틸클로로 이소치아졸 (Methylchloro isothiazolone) 메틸 이소치아졸리논 (Methyl Isothiazolinone) |
낮은 농도에서도 다양한 미생물에 효과 |
피부 자극 |
우레아 (Urea) |
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(Imidazolidinyl Urea) 디아졸리디닐 우레아 (Diazolidinyl Urea) |
세균에 대한 활성 좋음 |
효모, 곰팡이에 대한 활성은 안 좋음 분해 시 포름알데히드 방출 |
트리크로산 (Triclosan) |
세균과 진균에 모두 항균 효과 | 유아에게 알레르기 유발 | |
2-브로모-2-니트로프로판-1,3-디올 (2-bromo-2-nitropropane-1,3-diol) |
세균, 곰팡에 대해 낮은 농도에서 효과적 |
특이취절이나 알류미늄이 있을 시 불안정 |